[재테크 Lab] 금리 치솟았는데… 월세냐 전세냐
30대 부부 재무설계 2편 월세 vs 전세 고민 많은 직장인 중요한 건 월평균 지출비용 지출 줄여 내 집 마련 비용 확보 장기적인 안목에서 바라봐야 금리 인상으로 전세 대신 월세를 선호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문제는 수요가 증가한 탓에 저렴한 월셋집을 구하기가 어려워졌다는 점이다. 이번 상담의 주인공도 그랬다. 한달에 150만원씩 월세를 내는 탓에 저축이 쉽지 않다. 믿었던 지역주택조합은 수년째 답보 상태다. 이대로 살아야 할까, 아니면 부담스럽더라도 전세로 옮겨야 할까. 더스쿠프와 한국경제교육원㈜이 부부와 함께 머리를 맞댔다. 월세·전세는 중요하지 않다. 관련 비용이 매월 얼마나 지출되는지가 관건이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번 상담의 주인공인 한문성(가명 ·34 )씨와 아내 나은영(가명 ·35 )씨는 집 문제로 고민에 빠져 있다. 두 사람은 현재 투룸 오피스텔에서 월세(보증금 3000만원)로 지내고 있는데, 월세만 한달에 150만원을 낸다. 한씨는 소득에 비해 너무 많은 월세를 내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이 문제를 해결할 뾰족한 수가 없었다. 부부가 처음부터 월세 생활을 할 생각은 아니었다. 결혼 전 지역주택조합에 초기 투자금 7000만원을 내고 가입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았다. 지역주택조합의 활동이 시간이 지날수록 지지부진해졌기 때문이다. 언제 아파트를 시공할지 가늠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시간은 야속하게 흘러갔고, 부부의 부담감은 커져만 갔다. 두 사람은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기 위해 필자를 찾았다. 지난 1차 상담에선 부부의 가계부 상태를 살폈다. 둘 다 중소기업에 다니는 부부의 소득은 남편 265만원, 아내 325만원 등 총 590만원이다. 지출은 정기지출 405만원, 비정기지출 월평균 120만원, 금융성 상품 100만원 등 625만원이다. 적자는 월 35만원이다. 지역주택조합 얘기로 시간을 상당히 소비한 탓에 1차 상담에선 통신비(15만원→10만원)만 가볍게 줄였다. 필자는 부부에게 지역주택조합에 기대해선 안 된다고 조언했다. 대부분의 지